인체 질병 마이크로바이옴 지도 세계 최초 공개

GIST-킹스칼리지런던-스웨덴왕립공과대-프랑스INRAE 공동연구팀
당뇨병 등 23개 질병 연관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특징 규명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비침습적 질병 치료 위한 개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 가속화 기대”

[의학신문·일간보사=차원준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생명과학부 이선재 교수 연구팀이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 스웨덴 왕립공과대(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프랑스 국립농업식품환경연구소(INRAE) 공동연구팀과 함께 인체 질병 마이크로바이옴 지도(Human Gut Microbiome Atlas)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인체 질병 마이크로바이옴 지도(Human Gut Microbiome Atlas)

인체 질병 마이크로바이옴 지도(Human Gut Microbiome Atlas)
이번 연구 성과는 장내 미생물이 어떻게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 장내 미생물군집은 인간의 장에 서식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및 기타 미생물을 말하며, 신체가 소화와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군집 구성의 변화와 우울증, 알츠하이머, 제2형 당뇨병과 같은 질병의 발병 사이에 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내 미생물군집과 질병과의 연관성은 연구자들에게 점점 더 많은 관심이 되고 있지만 건강한 장내 미생물군집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다양한 지역과 질병에 걸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공동 연구팀은 기존에 공개된 전 세계 19개국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당뇨병, 염증성 장질환, 우울증 등 23개의 질병에 연관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연구팀은 북미, 유럽 및 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전역에서 6,014개의 인간 장내 샷건 메타지놈 데이터(장내 미생물 유전체 데이터)를 심층 분석했다. 메타분석(meta-analysis) 및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모델을 이용해 건강한 개인과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에게 어떤 박테리아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지를 분류해 특정 기능을 특정 박테리아와 연결시켰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질병 환자들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 유해균인 푸소박테륨(Fusobacterium),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균주가 증가하고, 장내 유익균인 라크노스시라피에(Lachnospiraceae)에 속하는 단쇄지방산 생성균주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출처 : 의학신문(http://www.bosa.co.kr)

 

Related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