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싱가포르인가 ⟩ 정책환경
싱가포르 대표적인 정책 및 방향성
글로벌 금융 & 경제 허브
Singapore Economy 2030
Trade 2030
- 싱가포르의 경제 연결성과 통합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제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무역 흐름을 개선하고 디지털 및 녹색 경제 협약 네트워크 확대 목표
- 수출을 최소 1조 싱가포르 달러로 늘리고 역외 무역을 2조 싱가포르 달러로 두 배로 늘릴 것을 목표
Enterprise 2030
- 유망한 신성장 분야의 기업을 지원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현지에서 성장한 고성장 기업 육성 목표
- 지역 중소기업의 디지털화, 혁신, 글로벌화 및 지속가능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Manufacturing 2030
- 2030년까지 제조업 부가가치를 50% 높이고, 싱가포르가 첨단 제조 분야의 글로벌 비즈니스, 혁신 및 인재 허브로 만들 것을 목표
- 유망한 현지 기업을 육성하고 해당 부문의 인력 파이프라인을 위한 지원 및 강화
Services 2030
- 2030년까지 모던 서비스 클러스터의 부가가치를 50% 이상 성장 목표
- 지속 가능성과 디지털화 분야에서 전체 부문의 성장 기회를 활용하고 싱가포르를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관광을 위한 선도적이고 활기찬 허브로 만들 것을 목표
녹색 지속가능성
Singapore Green Plan 2030
City in Nature (자연 속 도시)
- 자연 공원 네트워크 확장
- 정원과 공원의 자연 강화
- 도시 경관에 자연 복원
- 싱가포르의 녹지 공간 간 연결성 강화
- 수의학 및 동물 관리 강화
Energy Reset (에너지 재설정)
- 친환경 에너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구축 및 사용하여, 2030년까지 최소 2기가와트 피크의 태양광 에너지 보급 목표
- 친환경 교통 2030년부터 모든 신규 자동차 및 택시 등록을 청정 에너지 모델로 전환 목표 전기 자동차 충전소 늘리기 세부 정책 수립
- 친환경 건물
Green Economy (녹색 경제)
- EDB (싱가포르 경제 개발청)는 에너지 자원 효율 보조금을 관리하여 제조 기업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
- NEA (국립환경청)의 에너지 효율 기금은 적격 비용의 최대 70% 지원, 기업이 에너지 효율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역량을 구축하고 조기에 탈탄소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
Resilient Future (회복력 있는 미래)
- 30-by-30 목표 - 2030년까지 영양 수요의 30%를 현지에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농식품 산업의 역량 강화 목표
- 6천만 달러 규모의 농식품 클러스터 혁신(ACT) 기금을 조성하여 농장의 생산 능력과 역량을 구축하고 확장하기 위한 자금 지원을 제공
Sustainable Living (지속가능한 생활)
- 제로 폐기물 국가 목표 & 순환 경제
- 에코 스튜어드십 프로그램(ESP)
- 친환경 출퇴근 2030년대까지 10가구 중 8가구를 지하철역까지 도보로 10분 이내로 출퇴근 할 수 있도록 목표
AI / IoT 기반 디지털화
Smart Nation 2.0
Digital Government (디지털 정부)
- 디지털 솔루션을 통합하여 시민 및 기업과의 원활한 엔드투엔드 디지털 상호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정부 서비스를 간소화
- 정부 기관 간 데이터 공유 및 분석을 강화하여 서비스 제공 및 정책 결정을 개선
- AI를 사용하여 개인화된 예측 서비스를 도입하여 시민이 자신의 필요에 맞는 서비스 (예: 의료, 사회적 지원, 개인화된 교육 경로)를 받을 수 있도록 목표
Digital Economy (디지털 경제)
- AI, IoT,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금융, 의료, 제조, 물류와 같은 주요 부문의 혁신을 촉진
- 재교육 프로그램, 전문 자격증, 민관 파트너십을 통해 근로자가 디지털 기술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여 고도로 숙련된 디지털 인력을 양성
- 핀테크, 블록체인, 사이버 보안, 데이터 분석의 허브로서 싱가포르를 발전시켜 글로벌 기술 투자 유치 목표
Digital Society (디지털 사회)
- 디지털 도구를 제공하여 노인과 취약 계층을 포함한 모든 사회 계층이 디지털 서비스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목표
- 디지털 신원 확인 및 현금 없는 결제의 도입을 촉진하여 편리한 일상적인 거래 유도
- 5G 네트워크와 같은 최신 통신 기술로 스마트 국가 인프라를 강화하여 고속 실시간 연결을 지원